히트펌프, 2020년 내 냉동공조분야 주력 시장으로 성장
- 정부의 지원정책 강화 필요
- 압축기 등 핵심기술 개발 뒤따라야
_x000D_
_x000D_
본지는 창간 1주년을 맞아 히트펌프·공조 업계의 발전적 성장과 성숙된 시장조성을 위하여 히트펌프·공조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히트펌프 산업동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무작위로 500명을 선정,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메일과 팩스로 회신을 받아 응답률 32%(160명)를 기록했다. 설문을 정리한 통계자료는 히트펌프·공조업계 전체가 아닌 일부의 의견이다.(편집자 주)
정리·글 _ 성백진(sungbjin@naver.com) _x000D_
_x000D_
업계 히트펌프 산업 성장가능성 장밋빛 전망
_x000D_
_x000D_
_x000D_
냉동공조업계 종사자들은 2020년 이내에 히트펌프·공조 분야가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의 주요 냉난
방 및 공정용 온수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본지가 창간 1주년 맞아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히트펌프·공조·학계·설계사무소 종사자 16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히트펌프 산업 및 업계 동향”설문에서 이같은 조사결과가 나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0.6%인 145명이 앞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이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의
주요 냉난방 및 공정용 스팀·온수시스템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은 15명으로 9.4%에 불과해 업계 종사자들은 대부분 히트펌프 산업의 성장가능성에 장밋빛 전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설문의 근무업종별 조사에서‘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히트펌프·공조 분야가 92.7%로 가장 높
았고 그 뒤를 이어 학계 90%, 설계사무소 80%순으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는‘정부의 지원 등 정책적 한계’와 히트펌프 시스템의 적용상 한계를 이유로 들었다.
히트펌프 시장이 언제쯤 성숙기에 접어들지에 대해 물은 결과.........
_x000D_
_x000D_
_x000D_
_x000D_
중략
_x000D_
_x000D_
2013년 7월호 창간 1주년 기획특집
- 정부의 지원정책 강화 필요
- 압축기 등 핵심기술 개발 뒤따라야
이번 설문조사는 무작위로 500명을 선정,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메일과 팩스로 회신을 받아 응답률 32%(160명)를 기록했다. 설문을 정리한 통계자료는 히트펌프·공조업계 전체가 아닌 일부의 의견이다.(편집자 주)
정리·글 _ 성백진(sungbjin@naver.com)
냉동공조업계 종사자들은 2020년 이내에 히트펌프·공조 분야가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의 주요 냉난
방 및 공정용 온수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본지가 창간 1주년 맞아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히트펌프·공조·학계·설계사무소 종사자 16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히트펌프 산업 및 업계 동향”설문에서 이같은 조사결과가 나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0.6%인 145명이 앞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이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의
주요 냉난방 및 공정용 스팀·온수시스템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은 15명으로 9.4%에 불과해 업계 종사자들은 대부분 히트펌프 산업의 성장가능성에 장밋빛 전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설문의 근무업종별 조사에서‘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히트펌프·공조 분야가 92.7%로 가장 높
았고 그 뒤를 이어 학계 90%, 설계사무소 80%순으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는‘정부의 지원 등 정책적 한계’와 히트펌프 시스템의 적용상 한계를 이유로 들었다.
히트펌프 시장이 언제쯤 성숙기에 접어들지에 대해 물은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