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펌프 국내외 시장 현황 및 기술동향
_x000D_
박성룡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IEA/HPP 한국집행위원, 공학박사
저탄소·녹색성장정책 (그린 홈 지원정책 및 친환경 규제 등)과 더불어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을 작성하고, 우선 성장동력화 9개 기술과 단계적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6개 기술 등, 15개 분야의 기술을 선정하여 국가 성장동력의 축으로 육성하려는 목표로, 2030년에는 11%의 국내점유율과 13%의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노력한 결과, 국내 시장규모는 2008년 이후 연평균 34%씩 급성장하였으며, 2012년 1조3천억 원까지 확대 전망되고 있다.
_x000D_
_x000D_
_x000D_
_x000D_
1. 서론
우리나라는 2007년도 냉동공조기계 세계시장 규모 1,348억불 중에서 세계 7위인 7.3%의 시장점유율
을 차지하는 등 비교 우위의 냉동공조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 중심의 사업으로 세계
최고의 가정용 냉동공조기기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냉동공조산업은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성장잠재력이 큰 산업분야이나 가정용을 제외한 중대형 산업 및 상업용 분야에서는 일
본, 유럽 등 선진국 대비 요소기술 경쟁력 미흡으로 국제경쟁력 기반이 취약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는
경제발전과 함께 웰빙문화의 정착에 기인한 신선 물류시스템(Cold-Chain System)에 대한 시장의 요구
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 지역에서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냉동공조기계는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기기로 인식되어 있지만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보유한 가정용
냉동공조산업은 현재 CashCow군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산업용 및 친환경 히트펌프 등
에 대한 투자 강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효율
제품으로의 변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비연소식(combustion-free) 열원
기기인 히트펌프(Heat Pump)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10년 세계 공조시장 규모는 약
724억$에서 히트펌프는 약 3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건물, 산업용 등에 보급이
확대되고 있어 연 13% 내외의 고성장을 이루어 2020년에는 약 600억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
고 있다(BSRIA 보고 (The Building Services Research and Information Association). 이렇듯
히트펌프가 최근에 각광을 받고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요인은 히트펌프의 고효율성이 부각되어, 지구온
난화 가스인 CO2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대책과 그에 따른 에너지소비와 국제규약제약 등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유럽에서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분류하여 공기열, 지열,
수열원 등을 이용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이 .....
_x000D_
_x000D_
중략
_x000D_
_x000D_
2012년 11월호
저탄소·녹색성장정책 (그린 홈 지원정책 및 친환경 규제 등)과 더불어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을 작성하고, 우선 성장동력화 9개 기술과 단계적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6개 기술 등, 15개 분야의 기술을 선정하여 국가 성장동력의 축으로 육성하려는 목표로, 2030년에는 11%의 국내점유율과 13%의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노력한 결과, 국내 시장규모는 2008년 이후 연평균 34%씩 급성장하였으며, 2012년 1조3천억 원까지 확대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도 냉동공조기계 세계시장 규모 1,348억불 중에서 세계 7위인 7.3%의 시장점유율
을 차지하는 등 비교 우위의 냉동공조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 중심의 사업으로 세계
최고의 가정용 냉동공조기기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냉동공조산업은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성장잠재력이 큰 산업분야이나 가정용을 제외한 중대형 산업 및 상업용 분야에서는 일
본, 유럽 등 선진국 대비 요소기술 경쟁력 미흡으로 국제경쟁력 기반이 취약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는
경제발전과 함께 웰빙문화의 정착에 기인한 신선 물류시스템(Cold-Chain System)에 대한 시장의 요구
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 지역에서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냉동공조기계는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기기로 인식되어 있지만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보유한 가정용
냉동공조산업은 현재 CashCow군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산업용 및 친환경 히트펌프 등
에 대한 투자 강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효율
제품으로의 변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비연소식(combustion-free) 열원
기기인 히트펌프(Heat Pump)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10년 세계 공조시장 규모는 약
724억$에서 히트펌프는 약 3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건물, 산업용 등에 보급이
확대되고 있어 연 13% 내외의 고성장을 이루어 2020년에는 약 600억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
고 있다(BSRIA 보고 (The Building Services Research and Information Association). 이렇듯
히트펌프가 최근에 각광을 받고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요인은 히트펌프의 고효율성이 부각되어, 지구온
난화 가스인 CO2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대책과 그에 따른 에너지소비와 국제규약제약 등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유럽에서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분류하여 공기열, 지열,
수열원 등을 이용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