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부상하는 캐나다 히트펌프 시장
캐나다는 풍부한 에너지원을 갖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에너지 집약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이는 난방 장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역사적인 선택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에너지 운송과 배분 기반시설에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함에 따라 그 결과로 에너지 가격은 인상될 것이다. 소비자는 새로운 난방 및 냉방 서비스 옵션을 찾아야 한다. 현재 히트펌프는 보급률 (10% 미만)이 낮지만 미래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_x000D_
Denis Tanguay | 캐다나
_x000D_
개요
캐나다의 히트펌프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주거 부문에서 히트펌프는 난방장비의 3퍼센트 미만을 차지한다. 현재 이와 관련된 통계는 없지만 상업 및 기관 부문에서도 이 비율 보다 더 크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낮은 비중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전통적으로 캐나다는 몇 가지만 말하면, 수력 및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목재 등 모든 종류의 에너지원이 풍부한 나라이다.
풍력과 태양 에너지 산업 역시 이 국가의 많은 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 역시 대규모 발전에 기여한다. 이 같은 풍부한 에너지 환경속에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에너지 가격으로 히트펌프가 제공하는 효율성 등 장점은 한 번도 캐나다 국민들에게 큰 관심을 받아본 적이 없다.
_x000D_
제도적 틀
캐나다는 헌법에 따라 에너지 생산과 배분은 주정부의 관할권에 속한다. 캐나다는 또한 난방을 주로 사용하는 국가이다. 그래서 전기 냉방이 아닌 난방연료 선택이 난방장비 재고의 대부분을 좌우한다. 마지막으로 주마다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의 차이가 난방장비 선택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그림 1>과 <그림 2>에서 보듯, 난방장비의 유형은 주마다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알버타와 서스캐처원에서 엄청나게 많은 천연가스 자원은 난방장비 선택에 반영된다. 퀘벡에서는 대규모 수력발전과 매우 저렴한 전기가격으로 전기 저항 시스템이 이 기간 내내 시장을 거의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모든 주에 잘 작용할 한 가지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일은 매우 힘들다. 연방정부가 재생에너지 촉진에 관여하고 있지만, 각 주정부가 우선순위에 따라 자체적으로 내린 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중앙 정부는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국가표준을 개발함으로써 표준 개발이란 측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시 한 번 말하면, 각 주는 이러한 표준을 채택할 지 여부를 결정할 자유가 있다. 연방정부가 국제 거래 이슈는 물론 주와 주 간 거래 이슈에 책임이 있어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히트펌프를 수입하려면 캐나다 에너지 효율성 규제를 따라야 한다. 히트펌프 효율성 표준은 그러므로 연방정부에 의해 설정된다.
하지만 어느 한 주에 위치한 캐나다 제조사도 그 회사의 제품이 그 주에서만 판매되는 한 이 캐나다
에너지 효율성 규정의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다.
_x000D_
_x000D_
시장과 정책 도전
_x000D_
_x000D_
중략
_x000D_
_x000D_
월간 히트펌프공조 4월호
캐나다는 풍부한 에너지원을 갖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에너지 집약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이는 난방 장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역사적인 선택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에너지 운송과 배분 기반시설에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함에 따라 그 결과로 에너지 가격은 인상될 것이다. 소비자는 새로운 난방 및 냉방 서비스 옵션을 찾아야 한다. 현재 히트펌프는 보급률 (10% 미만)이 낮지만 미래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개요
캐나다의 히트펌프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주거 부문에서 히트펌프는 난방장비의 3퍼센트 미만을 차지한다. 현재 이와 관련된 통계는 없지만 상업 및 기관 부문에서도 이 비율 보다 더 크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낮은 비중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전통적으로 캐나다는 몇 가지만 말하면, 수력 및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목재 등 모든 종류의 에너지원이 풍부한 나라이다.
풍력과 태양 에너지 산업 역시 이 국가의 많은 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 역시 대규모 발전에 기여한다. 이 같은 풍부한 에너지 환경속에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에너지 가격으로 히트펌프가 제공하는 효율성 등 장점은 한 번도 캐나다 국민들에게 큰 관심을 받아본 적이 없다.
제도적 틀
캐나다는 헌법에 따라 에너지 생산과 배분은 주정부의 관할권에 속한다. 캐나다는 또한 난방을 주로 사용하는 국가이다. 그래서 전기 냉방이 아닌 난방연료 선택이 난방장비 재고의 대부분을 좌우한다. 마지막으로 주마다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의 차이가 난방장비 선택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그림 1>과 <그림 2>에서 보듯, 난방장비의 유형은 주마다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알버타와 서스캐처원에서 엄청나게 많은 천연가스 자원은 난방장비 선택에 반영된다. 퀘벡에서는 대규모 수력발전과 매우 저렴한 전기가격으로 전기 저항 시스템이 이 기간 내내 시장을 거의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모든 주에 잘 작용할 한 가지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일은 매우 힘들다. 연방정부가 재생에너지 촉진에 관여하고 있지만, 각 주정부가 우선순위에 따라 자체적으로 내린 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중앙 정부는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국가표준을 개발함으로써 표준 개발이란 측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시 한 번 말하면, 각 주는 이러한 표준을 채택할 지 여부를 결정할 자유가 있다. 연방정부가 국제 거래 이슈는 물론 주와 주 간 거래 이슈에 책임이 있어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히트펌프를 수입하려면 캐나다 에너지 효율성 규제를 따라야 한다. 히트펌프 효율성 표준은 그러므로 연방정부에 의해 설정된다.
하지만 어느 한 주에 위치한 캐나다 제조사도 그 회사의 제품이 그 주에서만 판매되는 한 이 캐나다
에너지 효율성 규정의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