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부대설비에서의 에너지 절감
건조장치는 많은 기기에서 구성되며, 건조에 소비되는 에너지나 건조장치 본체를 움직이는 에너지, 본체로부터의 방열에너지 이외에 수많은 보조기기, 부대설비에 있어서도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항에서는 이들 부대설비에 관한 에너지 절약에 대해 언급한다. 또, 열회수용의 관련설비에 대해서는 제5장 라. 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하지만 부대설비인 열풍발생로, 열교환기, 송배풍기를 포함하는 팬(Fan), 블로어(Blower), 펌프류, 덕트, 사이클론이나 백 필터, 스크러버(Scrubber, 배기가스 세정장치) 등의 제품회수ㆍ집진장치를 비롯하여 작은 부대설비 로터리밸브나 더블댐퍼 등의 밸브류, 스크루 컨베이어나 벨트컨베이어 등의 분체공급ㆍ배출기와 관련설비인 세정설비도 잊어서는 안된다.
이들의 주요 설비와 에너지 절약 대책에 대해서 표 5.17에 나타내었지만, 에너지 절약 대책이 다른 기기나 기능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그 효과가 적은 경우가 많고, 프로세스 전체를 적절하게 고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 부대설비의 에너지 절약에 대해 2, 3가지 예를 나타냈다.
■ 예1 열풍 발생기(증기 간접 가열식, Aero fin heater)
열풍 온도 : 130℃
열풍량 : 11,000kg/h
증기 압력 : 8kg/c㎡ㆍG
이 흐름도를 그림 5.43에 나타냈다. 당초는 증기를 스팀트랩에서 그대로 열수로서 배출시켜 보일러의 탱크로 되돌아오고, 또 온수가온이 필요한 다른 장치를 위해 일부러 온수를 만들고 있었지만, 개선 후의 흐름과 같이 증발 탱크(Flash tank)와 2계통의 열교환기를 사용해 약60℃의 온수로 회수해서, 일부 조온해 온수 가열원으로 한 결과 증기소비량은 6,400kg/h에서 5,200kg/h로 약 19% 절감되었다. 또, 이 값은 온수를 만들고 있던 증기분을 포함하지 않는 값이며, 그것을 맞추면 20% 이상 절감되었다.
■ 예 2 배풍기
열통상, 송배풍기나 펌프류는 각 필터 등의 막힘이나 배관의 변경 등도 잘 고려해서 설계조건이 작성되어서, 실제로 운전하는 경우는 능력에 여유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또, 장치의 압력, 풍력의 밸런스를 위해 댐퍼를 사용해 조절을 하고 있지만, 일부러 밸브에서 압력 손실을 주어 풍량을 컨트롤하는 것은 동력적으로 낭비이며, 최근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제5장 바. 4) 회전수 제어에 의한 동력비의 절감에서 주파수변환기(컨버터/인버터, 일반적으로 인버터라 불림)의 개요를 말했지만, 이 인버터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배풍기 사양 : 80m3/min× 4.5kPa at 100℃
정격 동력 : 15kW
댐퍼에 의한 제어의 운전 시 소비동력은 12Kw/h, 댐퍼를 철거하여 인버터 제어로 하였을 때의 운전 시 소비동력은 9.5kW/h가 되며, 약 20%의 동력이 삭감되었다. 이러한 동력절감은 배풍기가 대용량이 될수록 무시할 수 없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각 업체의 인버터가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는 모터와 인버터가 동일한 회사이면서 어떻게 해도 특성이 맞지 않아 변경시킬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충분한 신뢰에서 사용 실적에 기초를 둔 선정 또는 전기회사에 직접 상담하는 것이 성공을 확실하게 한다.
중략...
히트펌프&공조 2021년 11월호 게재
사. 부대설비에서의 에너지 절감
건조장치는 많은 기기에서 구성되며, 건조에 소비되는 에너지나 건조장치 본체를 움직이는 에너지, 본체로부터의 방열에너지 이외에 수많은 보조기기, 부대설비에 있어서도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항에서는 이들 부대설비에 관한 에너지 절약에 대해 언급한다. 또, 열회수용의 관련설비에 대해서는 제5장 라. 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하지만 부대설비인 열풍발생로, 열교환기, 송배풍기를 포함하는 팬(Fan), 블로어(Blower), 펌프류, 덕트, 사이클론이나 백 필터, 스크러버(Scrubber, 배기가스 세정장치) 등의 제품회수ㆍ집진장치를 비롯하여 작은 부대설비 로터리밸브나 더블댐퍼 등의 밸브류, 스크루 컨베이어나 벨트컨베이어 등의 분체공급ㆍ배출기와 관련설비인 세정설비도 잊어서는 안된다.
이들의 주요 설비와 에너지 절약 대책에 대해서 표 5.17에 나타내었지만, 에너지 절약 대책이 다른 기기나 기능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그 효과가 적은 경우가 많고, 프로세스 전체를 적절하게 고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 부대설비의 에너지 절약에 대해 2, 3가지 예를 나타냈다.
■ 예1 열풍 발생기(증기 간접 가열식, Aero fin heater)
열풍 온도 : 130℃
열풍량 : 11,000kg/h
증기 압력 : 8kg/c㎡ㆍG
이 흐름도를 그림 5.43에 나타냈다. 당초는 증기를 스팀트랩에서 그대로 열수로서 배출시켜 보일러의 탱크로 되돌아오고, 또 온수가온이 필요한 다른 장치를 위해 일부러 온수를 만들고 있었지만, 개선 후의 흐름과 같이 증발 탱크(Flash tank)와 2계통의 열교환기를 사용해 약60℃의 온수로 회수해서, 일부 조온해 온수 가열원으로 한 결과 증기소비량은 6,400kg/h에서 5,200kg/h로 약 19% 절감되었다. 또, 이 값은 온수를 만들고 있던 증기분을 포함하지 않는 값이며, 그것을 맞추면 20% 이상 절감되었다.
■ 예 2 배풍기
열통상, 송배풍기나 펌프류는 각 필터 등의 막힘이나 배관의 변경 등도 잘 고려해서 설계조건이 작성되어서, 실제로 운전하는 경우는 능력에 여유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또, 장치의 압력, 풍력의 밸런스를 위해 댐퍼를 사용해 조절을 하고 있지만, 일부러 밸브에서 압력 손실을 주어 풍량을 컨트롤하는 것은 동력적으로 낭비이며, 최근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제5장 바. 4) 회전수 제어에 의한 동력비의 절감에서 주파수변환기(컨버터/인버터, 일반적으로 인버터라 불림)의 개요를 말했지만, 이 인버터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배풍기 사양 : 80m3/min× 4.5kPa at 100℃
정격 동력 : 15kW
댐퍼에 의한 제어의 운전 시 소비동력은 12Kw/h, 댐퍼를 철거하여 인버터 제어로 하였을 때의 운전 시 소비동력은 9.5kW/h가 되며, 약 20%의 동력이 삭감되었다. 이러한 동력절감은 배풍기가 대용량이 될수록 무시할 수 없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각 업체의 인버터가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는 모터와 인버터가 동일한 회사이면서 어떻게 해도 특성이 맞지 않아 변경시킬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충분한 신뢰에서 사용 실적에 기초를 둔 선정 또는 전기회사에 직접 상담하는 것이 성공을 확실하게 한다.
중략...
히트펌프&공조 2021년 11월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