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ㆍ연재


새로운 건조 장치_제5장 건조 장치에서의 에너지 절약 대책 ➁

월간 에너지관리
2021-08-11

2) 현열회수의 실시 예

(1) 중고온(中高溫) 배기가스에서의 열회수

실시 예를 그림 5.17 및 표 5.9에 나타내었다.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하여 예비건조기의 배기가스를 가열 순환하는 흐름에서 건조기의 배기가스를 소각로의 배기가스와 열교환해 500℃ 전후까지 예열해서 잔여분을 소각로의 탈취존에 도입하는 방식이다. 소각, 탈취를 정상(定常)시에는 거의 무연료로 하고 모아서 예열한 후 배기가스의 일부를 열풍로로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에 필요한 연료량을 절감하는 것이다.

더욱이 2차 열교환기를 두어서 습식세정 후의 배기가스의 백연방지를 하고 있지만, 배기가스의 후처리를 건식으로 하거나 백연현상이 생겨도 괜찮은 지역에 있어서는 2차 열교환기의 회수 열량분을 예로 들면 열풍발생로의 연소공기예열에 이용함으로써 건조용 연료소비량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 2차 열교환기는 유산(流酸)로점 부식에 대한 안전을 배려하여 배기가스 출구에서의 평균 온도를 높게 잡을 수 있는 병류식이 채용된다

단, 동일 회수열량으로 비교하면, 대수평균온도차(對數平均溫度差)는 향류식(向流式)에 비해 약간 작아지므로 소요 면적은 커진다.


(2) 저온 배기가스로부터의 열회수

그림 5.18 및 표 5.10은 밴드형 통기건조기에서의 폐열회수의 예이다. 건조용 급기를 전반(前半)의 배기와 열교환해서 예열된 후, 공기가열기로 도입(導入)해서 증기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고, 후반부(後半部)의 비교적 저습도인 배기는 전반부(前半部)의 공기가열기로 보내지는 흐름이다. 통기건조기의 전반부의 배기는 비교적 분진농도도 낮고, 히트파이프식 열교환기에서의 폐열회수에 적합하고, 또 콤팩트한 레이아웃이 가능하다. 이 예는 전반부에서도 배기가 99℃로 높고, 회수 효과도 크다. 



중략...


월간 히트펌프&공조 2021년 8월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