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 혁신, 공동 발전’ 주제로 성황리에 열려
- 전 세계 30여 개국 2,240여 개 업체가 참가
- IoT 기술 적용 제품 강세
김민영 기자(miakim17@naver.com)
지난 4월 9일부터 11일까지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NIEC)에서 개최된 2019 중국제냉전(CHINA REFRIGERATION EXPO 2019, 이하 제냉전)이 3일간의 대장정을 성공리에 마쳤다. 올해 30회를 맞은 중국제냉전은 미국 AHR EXPO, 독일 칠벤타(Chillventa),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과 함께 세계 4대 냉난방공조 전시회 중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행사다.
중국 CCPIT 북경시분회, 중국제냉학회, 중국제냉공조공업협회, 상하이시 제냉학회 및 상하이냉동공조업계협회 주최로 개최된 이번 전시는 총 9개관에서 열렸으며, 전 세계 30여개국 2,240여개 업체가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올해도 방대한 규모만큼이나 폭넓고 다양한 관련 최신 기술 및 제품들의 경연장이 되었던 제냉전은 ‘공동 혁신, 공동 발전’을 주제로 열렸다. 특히 IoT(사물 인터넷) 기술 도입과 보편화를 위해 노력 중인 중국의 현 시장 상황을 반영한 출품 양상을 보였다. 많은 참가 기업들이 스마트 온도조절 시스템, 스마트 냉각기, 스마트 에어컨 등 IoT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제품들을 대거 선보이며 이목을 끌었다.
중국은 하이얼(Haier), 그리(Gree), 메이디(Media) 등 대기업들이 참가해 다양하고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국가 및 지역별 전시관도 별도로 마련되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유럽, 미국, 한국, 인도 등 4개 전시관에 부스를 마련한 해외 참가업체들은 냉장·냉동·난방 설비, 각종 설비용 밸브 등을 대거 선보였다. 유럽에서는 EMBPAPST, BLAUBERG, CAREL, Danfoss 등이 참가했으며, 이 중 CAREL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집안의 습도,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 c.pCO를 전시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일본의 파나소닉은 스마트홈 시스템을 전시해 환풍 시설, 샤워 시설 등에 사물 인터넷을 접목한 사례를 공개했다.
한국관에는 동화윈, 힘펠, 대성히트펌프, 시스템벤트, 유니슨엔지니어링, 승일일렉트로닉스, 서경브레이징, 나라E&C 등 20여개 업체들이 참가해 공기조화설비, 온도조절설비, 히트펌프, 냉각 밸브 등 제품을 선보였다. 참가기업들은 이번 전시회를 새로운 바이어를 발굴하고, 해외시장에 자사 제품과 기술을 소개함은 물론, 글로벌 제냉 기술현황을 파악하는 기회로 활용했다.
전시회와 연계된 세미나와 포럼도 다양하게 열려 이번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완성시켰다. ‘국제 콜드 체인(Cold Chain) 기술 포럼’, ‘중국 에어컨 시설 표준 설명회’, ‘2019년 중국제냉전 아이디어 포럼’, ‘냉동차 기술 발전 세미나’ 등 다수의 세미나와 포럼 등이 개최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 2019 중국제냉전 전시장 입구 전경(출처 : 비처)
비처, 신제품 스크류 압축기 시리즈 HS95 선보여
비처(BITZER)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새롭게 개발한 스크류 압축기 시리즈 HS95를 비롯한 다양한 주력 제품들을 전시했다. “HVAC&R 부품” 카테고리에서 2019년 혁신 제품으로 인정받은 HS95는 전동기와 기계 장치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과 후의 로드 작업에서 시스템 효율을 눈에 띄게 향상시킨다. 반밀폐형인 HS95 스크류 압축기는 냉동, 냉난방, 히트펌프 및 해상 시스템 등 광범위한 적용 범위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최대 1,015m³/h(50Hz)의 변위를 제공한다. 또 이 제품은 단일 및 병렬 압축기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최대 4대의 압축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평행 배합에서는 최대 4,060m³/h의 변위에 도달한다.
이 시리즈는 R22, R507A / R404A, R134a와 같은 많은 냉매뿐만 아니라 R1234yf, R1234ze(E) 및 저 GWP 혼합물과 같은 새로운 냉매를 위해 설계되었다. 사용자는 통합된 BITZER IQ 모듈을 사용하여 확장된 보호 개념과 정확하게 맞는 슬라이더 컨트롤을 보장한다. 견고한 설계, 낮은 소리 및 진동 수준은 물론 간단한 핸들링, 서비스 가능성 등도 돋보이는 장점이다. 비처는 지난해 전시회에서도 ECOLINE+ 왕복동 컴프레서와 IQ 모듈을 함께 사용하여 냉장 제품 분야의 혁신 제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스크류 압축기 HS95에 대한 올해의 수상은 비처가 광범위한 압축기 기술에서 냉동공조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입증해주었다.

▲ 카렐은 신제품 Hecu CO2로 ‘혁신제품 2019’를 수상했다.(출처 : 카렐)
카렐, Hecu CO2로 ‘혁신제품 2019’ 수상
카렐(CAREL)은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스마트폰 앱으로 집안의 습도,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 c.pCO를 비롯한 다양한 신제품 라인업을 공개해 이목을 끌었다. 특히 Hecu CO2를 냉동부문에서 혁신제품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뤘다. 천연냉매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최첨단 솔루션 Hecu CO2는 앞으로 중국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으로 각광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이다.
Hecu sistema는 DC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BLDC 압축기를 사용하는 콘덴싱 유닛을 위한 카렐의 고효율 솔루션으로 개발되었으며, 천연 냉매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양한 냉각 용량 변조를 제공하며, 특히 부분 부하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를 보장한다. 그뿐 아니라, 이 제품은 냉동장치와의 실시간 통신 기능이 눈에 띄는데, 안정된 제어를 통해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완벽한 식품 보존 능력을 보장해 음식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한 댄포스 부스 전경(출처 : 댄포스)
댄포스, 통합 전시 통해 새로운 시대 선도
에너지 효율 분야의 글로벌 리더 댄포스(Danfoss)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냉방, 난방 및 드라이브의 세 가지 부문을 통합해 전시했다. 올해의 주요 테마는 “Engineering Today”를 통해 고객과 함께하고자 하는 바람을 강조하는 “새로운 시대, 함께(New Era, Together)”였다. 댄포스는 300㎡ 규모의 부스에서 에어컨, 콜드 체인, 히트펌프, 산업용 냉동 및 오일 프리 솔루션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최신 댄포스 제품, 응용 프로그램 및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댄포스는 전시 기간 중 12개의 관련 산업 포럼 및 컨퍼런스에 참가했으며, 국내외 전문가들이 최신 산업 정보 및 선도 기술을 제시하는 7가지 기술 세미나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댄포스는 제냉전 기간 중 연례 기자 회견을 열어 암모니아 냉동 안전에 대한 중-덴마크 협력에 대한 공동 후원,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 새로운 인재를 육성하고 개발하기 위한 업계 당국과의 파트너십 등 앞으로의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한 PHNIX(출처 : PHNIX)
PHNIX, 히트펌프 신제품 대거 전시
중국 굴지의 히트펌프 제조업체 PHNIX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상업 및 가정용 히트펌프, 온수기, 정수기, ERV 시스템, 지능형 컨트롤러 등 20개 이상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PHNIX 저온 히트펌프 시리즈는 EVI(Enhanced Vapor Injection)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특히 히트펌프 온수기는 넓은 작동 온도 범위를 특징으로 한다. 새로운 건물 및 보일러 교체 시 -30˚C~-45˚C의 극한 기후에서도 65˚C의 높은 수온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주택이나 상업 시설에서 난방 및 온수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존 에어컨/보일러 난방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히트펌프 및 온수기 전문 제조 업체인 PHNIX는 올인원 히트펌프 온수기, 히트펌프 온수기의 탑 키트, 벽걸이형 히트펌프 및 히트펌프 온수기 등 가정용 히트펌프 제품 4종을 제공하며 일부는 유럽의 ErP 테스트 표준을 충족하고 A++ 에너지 수준에 도달한다. A++ ErP 수준의 새로운 PHNIX DC 인버터 히트펌프는 난방/냉방을 위해 바닥 난방, 물 팬코일 또는 라디에이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장치는 고급 히트펌프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 30%의 에너지 절감 및 4.0의 SCOP로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
‘공동 혁신, 공동 발전’ 주제로 성황리에 열려
- 전 세계 30여 개국 2,240여 개 업체가 참가
- IoT 기술 적용 제품 강세
김민영 기자(miakim17@naver.com)
지난 4월 9일부터 11일까지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NIEC)에서 개최된 2019 중국제냉전(CHINA REFRIGERATION EXPO 2019, 이하 제냉전)이 3일간의 대장정을 성공리에 마쳤다. 올해 30회를 맞은 중국제냉전은 미국 AHR EXPO, 독일 칠벤타(Chillventa),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과 함께 세계 4대 냉난방공조 전시회 중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행사다.
중국 CCPIT 북경시분회, 중국제냉학회, 중국제냉공조공업협회, 상하이시 제냉학회 및 상하이냉동공조업계협회 주최로 개최된 이번 전시는 총 9개관에서 열렸으며, 전 세계 30여개국 2,240여개 업체가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올해도 방대한 규모만큼이나 폭넓고 다양한 관련 최신 기술 및 제품들의 경연장이 되었던 제냉전은 ‘공동 혁신, 공동 발전’을 주제로 열렸다. 특히 IoT(사물 인터넷) 기술 도입과 보편화를 위해 노력 중인 중국의 현 시장 상황을 반영한 출품 양상을 보였다. 많은 참가 기업들이 스마트 온도조절 시스템, 스마트 냉각기, 스마트 에어컨 등 IoT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제품들을 대거 선보이며 이목을 끌었다.
중국은 하이얼(Haier), 그리(Gree), 메이디(Media) 등 대기업들이 참가해 다양하고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국가 및 지역별 전시관도 별도로 마련되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유럽, 미국, 한국, 인도 등 4개 전시관에 부스를 마련한 해외 참가업체들은 냉장·냉동·난방 설비, 각종 설비용 밸브 등을 대거 선보였다. 유럽에서는 EMBPAPST, BLAUBERG, CAREL, Danfoss 등이 참가했으며, 이 중 CAREL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집안의 습도,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 c.pCO를 전시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일본의 파나소닉은 스마트홈 시스템을 전시해 환풍 시설, 샤워 시설 등에 사물 인터넷을 접목한 사례를 공개했다.
한국관에는 동화윈, 힘펠, 대성히트펌프, 시스템벤트, 유니슨엔지니어링, 승일일렉트로닉스, 서경브레이징, 나라E&C 등 20여개 업체들이 참가해 공기조화설비, 온도조절설비, 히트펌프, 냉각 밸브 등 제품을 선보였다. 참가기업들은 이번 전시회를 새로운 바이어를 발굴하고, 해외시장에 자사 제품과 기술을 소개함은 물론, 글로벌 제냉 기술현황을 파악하는 기회로 활용했다.
전시회와 연계된 세미나와 포럼도 다양하게 열려 이번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완성시켰다. ‘국제 콜드 체인(Cold Chain) 기술 포럼’, ‘중국 에어컨 시설 표준 설명회’, ‘2019년 중국제냉전 아이디어 포럼’, ‘냉동차 기술 발전 세미나’ 등 다수의 세미나와 포럼 등이 개최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 2019 중국제냉전 전시장 입구 전경(출처 : 비처)
비처, 신제품 스크류 압축기 시리즈 HS95 선보여
비처(BITZER)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새롭게 개발한 스크류 압축기 시리즈 HS95를 비롯한 다양한 주력 제품들을 전시했다. “HVAC&R 부품” 카테고리에서 2019년 혁신 제품으로 인정받은 HS95는 전동기와 기계 장치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과 후의 로드 작업에서 시스템 효율을 눈에 띄게 향상시킨다. 반밀폐형인 HS95 스크류 압축기는 냉동, 냉난방, 히트펌프 및 해상 시스템 등 광범위한 적용 범위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최대 1,015m³/h(50Hz)의 변위를 제공한다. 또 이 제품은 단일 및 병렬 압축기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최대 4대의 압축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평행 배합에서는 최대 4,060m³/h의 변위에 도달한다.
이 시리즈는 R22, R507A / R404A, R134a와 같은 많은 냉매뿐만 아니라 R1234yf, R1234ze(E) 및 저 GWP 혼합물과 같은 새로운 냉매를 위해 설계되었다. 사용자는 통합된 BITZER IQ 모듈을 사용하여 확장된 보호 개념과 정확하게 맞는 슬라이더 컨트롤을 보장한다. 견고한 설계, 낮은 소리 및 진동 수준은 물론 간단한 핸들링, 서비스 가능성 등도 돋보이는 장점이다. 비처는 지난해 전시회에서도 ECOLINE+ 왕복동 컴프레서와 IQ 모듈을 함께 사용하여 냉장 제품 분야의 혁신 제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스크류 압축기 HS95에 대한 올해의 수상은 비처가 광범위한 압축기 기술에서 냉동공조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입증해주었다.
▲ 카렐은 신제품 Hecu CO2로 ‘혁신제품 2019’를 수상했다.(출처 : 카렐)
카렐, Hecu CO2로 ‘혁신제품 2019’ 수상
카렐(CAREL)은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스마트폰 앱으로 집안의 습도,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러 c.pCO를 비롯한 다양한 신제품 라인업을 공개해 이목을 끌었다. 특히 Hecu CO2를 냉동부문에서 혁신제품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뤘다. 천연냉매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최첨단 솔루션 Hecu CO2는 앞으로 중국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으로 각광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이다.
Hecu sistema는 DC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BLDC 압축기를 사용하는 콘덴싱 유닛을 위한 카렐의 고효율 솔루션으로 개발되었으며, 천연 냉매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양한 냉각 용량 변조를 제공하며, 특히 부분 부하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를 보장한다. 그뿐 아니라, 이 제품은 냉동장치와의 실시간 통신 기능이 눈에 띄는데, 안정된 제어를 통해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완벽한 식품 보존 능력을 보장해 음식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한 댄포스 부스 전경(출처 : 댄포스)
댄포스, 통합 전시 통해 새로운 시대 선도
에너지 효율 분야의 글로벌 리더 댄포스(Danfoss)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냉방, 난방 및 드라이브의 세 가지 부문을 통합해 전시했다. 올해의 주요 테마는 “Engineering Today”를 통해 고객과 함께하고자 하는 바람을 강조하는 “새로운 시대, 함께(New Era, Together)”였다. 댄포스는 300㎡ 규모의 부스에서 에어컨, 콜드 체인, 히트펌프, 산업용 냉동 및 오일 프리 솔루션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최신 댄포스 제품, 응용 프로그램 및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댄포스는 전시 기간 중 12개의 관련 산업 포럼 및 컨퍼런스에 참가했으며, 국내외 전문가들이 최신 산업 정보 및 선도 기술을 제시하는 7가지 기술 세미나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댄포스는 제냉전 기간 중 연례 기자 회견을 열어 암모니아 냉동 안전에 대한 중-덴마크 협력에 대한 공동 후원,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 새로운 인재를 육성하고 개발하기 위한 업계 당국과의 파트너십 등 앞으로의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한 PHNIX(출처 : PHNIX)
PHNIX, 히트펌프 신제품 대거 전시
중국 굴지의 히트펌프 제조업체 PHNIX는 2019 중국제냉전에 참가해 상업 및 가정용 히트펌프, 온수기, 정수기, ERV 시스템, 지능형 컨트롤러 등 20개 이상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PHNIX 저온 히트펌프 시리즈는 EVI(Enhanced Vapor Injection)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특히 히트펌프 온수기는 넓은 작동 온도 범위를 특징으로 한다. 새로운 건물 및 보일러 교체 시 -30˚C~-45˚C의 극한 기후에서도 65˚C의 높은 수온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주택이나 상업 시설에서 난방 및 온수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존 에어컨/보일러 난방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히트펌프 및 온수기 전문 제조 업체인 PHNIX는 올인원 히트펌프 온수기, 히트펌프 온수기의 탑 키트, 벽걸이형 히트펌프 및 히트펌프 온수기 등 가정용 히트펌프 제품 4종을 제공하며 일부는 유럽의 ErP 테스트 표준을 충족하고 A++ 에너지 수준에 도달한다. A++ ErP 수준의 새로운 PHNIX DC 인버터 히트펌프는 난방/냉방을 위해 바닥 난방, 물 팬코일 또는 라디에이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장치는 고급 히트펌프 기술을 사용하여 최대 30%의 에너지 절감 및 4.0의 SCOP로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