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참여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0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스마트 HVAC(공기조화기술) 실증사업’이 올해 말로 사업이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전담기관을,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주관기관을 맡고 있으며,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홍보, 교육, 커뮤니티 운영과 표준제안 사업에 참여해왔다.
스마트 HVAC 실증사업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주요 사업이었던 스마트 HVAC 교육사업은 2020년에 교재개발을 시작해 2021년, 2022년에 이어 올해까지 스마트 HVAC 기술인력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매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연간 2회씩 실시했으며 2021년에는 회당 40시간씩, 2022년과 2023년에는 회당 45시간씩 진행되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육에 참여한 인원은 매회 20명 정도로 3년간 연인원 총 132명이 교육을 이수했다.
본 사업은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 등 스마트 기능이 도입되면서 공기조화기에도 해당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기 제조현장의 제품 설계자, 생산자, 설치현장의 취급자 등에 인공지능 개요를 설명하고 기초적인 공기조화 지식 등의 전수하여 현장에 스마트 HVAC 기술의 정착을 순조롭게 하는데 기여하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교육과목은 당초에는 세 분야 ① 공기조화(HVAC) 기초, ② 인공지능(AI), ③ 사물인터넷 및 네트워크(IoT & ICT)로 나누어 실시했으나 2022년, 2023년은 2021년의 교육결과를 토대로 위의 3개 분야에 ‘Smart HVAC 이해’ 분야를 추가하여 총 4개 분야에 대하여 45시간 교육을 무상으로 실시했다.
교육은 비대면(화상 교육) 방식으로 각각 분야별 전문가들을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을 실시했다. 피교육생들의 관심과 능력, 요구사항이 달라 어려움은 있었으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또는 스마트 기능에 대한 입문을 원하는 각 개인과 기업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범위로 학습을 진행해왔다. 수강생과 수강생을 파견한 기업별로 스마트 기능의 이해와 접목에 좋은 계기가 되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향후 이번에 실시한 교육을 포함한 전체 스마트 HVAC에 대한 후속 사업은 이 사업의 주관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 경기도 화성시에 설립한 스마트 HVAC 평가센터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4년간 진행된 내용과 향후 진행할 업무와 내용들에 대해서는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전화 02-2193-4321)에 문의하면 설명을 들을 수 있다.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참여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0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스마트 HVAC(공기조화기술) 실증사업’이 올해 말로 사업이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전담기관을,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주관기관을 맡고 있으며,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홍보, 교육, 커뮤니티 운영과 표준제안 사업에 참여해왔다.
스마트 HVAC 실증사업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주요 사업이었던 스마트 HVAC 교육사업은 2020년에 교재개발을 시작해 2021년, 2022년에 이어 올해까지 스마트 HVAC 기술인력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매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연간 2회씩 실시했으며 2021년에는 회당 40시간씩, 2022년과 2023년에는 회당 45시간씩 진행되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육에 참여한 인원은 매회 20명 정도로 3년간 연인원 총 132명이 교육을 이수했다.
본 사업은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 등 스마트 기능이 도입되면서 공기조화기에도 해당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기 제조현장의 제품 설계자, 생산자, 설치현장의 취급자 등에 인공지능 개요를 설명하고 기초적인 공기조화 지식 등의 전수하여 현장에 스마트 HVAC 기술의 정착을 순조롭게 하는데 기여하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교육과목은 당초에는 세 분야 ① 공기조화(HVAC) 기초, ② 인공지능(AI), ③ 사물인터넷 및 네트워크(IoT & ICT)로 나누어 실시했으나 2022년, 2023년은 2021년의 교육결과를 토대로 위의 3개 분야에 ‘Smart HVAC 이해’ 분야를 추가하여 총 4개 분야에 대하여 45시간 교육을 무상으로 실시했다.
교육은 비대면(화상 교육) 방식으로 각각 분야별 전문가들을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을 실시했다. 피교육생들의 관심과 능력, 요구사항이 달라 어려움은 있었으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또는 스마트 기능에 대한 입문을 원하는 각 개인과 기업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범위로 학습을 진행해왔다. 수강생과 수강생을 파견한 기업별로 스마트 기능의 이해와 접목에 좋은 계기가 되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향후 이번에 실시한 교육을 포함한 전체 스마트 HVAC에 대한 후속 사업은 이 사업의 주관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 경기도 화성시에 설립한 스마트 HVAC 평가센터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4년간 진행된 내용과 향후 진행할 업무와 내용들에 대해서는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전화 02-2193-4321)에 문의하면 설명을 들을 수 있다.